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타15

한국어 교원 자격증 (절차, 과정, 혜택, 전망) 1. 한국어 교원 자격증이란?한국어 교원 자격증은 외국인 및 재외동포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전문 자격증입니다. 이 자격증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급하며, 1급, 2급, 3급으로 나뉩니다. 이 중 2급과 3급 자격증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취득하는 과정이고 1급은 2급과 3급을 취득한 후 정해진 교육 시간을 채우면 승급 신청할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한국 문화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이 지속되면서, 한국어 교원의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저도 2년여간의 공부를 하면서 사진의 한국어 교원 자격증을 땄습니다.한국어 교원 자격증의 가장 큰 매력은 무엇보다 안정적인 취업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해외 한국어 교육기관이나 국내 다문화 가정 지원센터, 대학 언어교육원 등 다양한 장소에서 활.. 2025. 1. 28.
한국어교재론 - 한국어 교재 연구 현황, 개발 방향 1. 한국어 교재 연구 현황 교재는 교사, 학습자와 함께 언어 교수 학습의 3대 요소 중 한 부분을 차지하며, 학습자와 교사를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협의의 교재는 학생들이 교육 목표에 도달하도록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 내용을 미리 선정하여 가시적으로 제시한 것으로서 주교재, 부교재, 워크북, 참고서, 사전, 시청각 자료, 음성 자료, 프로그램, 과제, 활동 등 교수에 활용된 모든 자료를 총칭한다. 한국어 학습자와 교수학습현장에 맞는 교재를 공급하기 위해선 기존 교재에 대한 정리와 파악을 포함한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최그 한국어 교육현장에서는 학습자와 교수자, 교육기관에 따라 탄력적이고 자유롭게 교재를 선택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보다 교재의 선택지가 다양해지면서 다양한 학습 .. 2025. 1. 26.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세종학당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사 : 시작과 발전한국어 교육은 한국 문화와 역사를 전 세계로 알리는 중요한 창구로 자리 잡아 왔습니다. 저도 현재 온라인 한국어 튜터도 1년 반째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14국가의 70여 학생을 가르치면서 확실히 한국어의 인기가 예전보다 더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한국어 교육의 기원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한국어를 배우고자 했던 초기 외국인들은 주로 선교사와 학자들이었으며, 이들이 한국어 문법서와 어휘집을 직접 제작해 한국어 교육의 초석을 마련했습니다.대표적으로 선교사 헐버트(Homer Hulbert)는 1892년, 한국어 학습을 위한 영어 문법서를 출간하며 한국어의 체계적인 학습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했습니다. 당시의 한국어 교.. 2025. 1. 24.